원문정보 검색
홈원문정보 검색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
1 | BE5474 | 통일교육원 | 600.911 한16 v.6 | 대출가능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책머리에 =5
제1부 내용과 형식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강령과 창작의 실제_[임옥규]=13
1. 북한문학예술의 창작 토대=13
2. 강령: 진보와 민족=17
3. 창작의 실제=24
4.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위상=45
수령형상 문학의 선봉, 계급성 논쟁의 핵심, 백인준_[전영선]=51
1. 수령형상 문학예술의 대부, 백인준=51
2. 유일사상체계화 과정과 수령형상화=54
3. <최학신의 일가> 논쟁과 주체사실주의 정립=61
4. 반동 작가에서 대문호가 된 문제적 작가, 백인준=69
「개벽」과 토지개혁_[남원진]=73
1. 「개벽」 연구의 필요성=73
2. 리기영의 「개벽」 판본과 개작과정=77
3. 토지개혁과 북조선 문학사의 평가=99
4. 판본의 수집 및 공동 연구의 필요성=113
전후복구시기 북한 노동계급의 성격화 양상_[오창은]=121
1. 노동의 '활력', 문학의 '생동'=121
2. 식민지 시대의 작가에서 '노동자들이 사랑한 작가'로=125
3. 이상화된 주인공과 이상적 주인공=129
4. 시대와 인간: 『시련속에서』의 인물 성격화 양상=135
5. 노동현장의 시련속에서=142
2부 역사와 장르
왜곡과 은폐의 북한문학사, 시인 ‘이찬’을 소화한 방식_[김수복•강민정]=149
1. 문학사적 내러티브와 시인 이찬(李燦)=149
2. '프로시'활동과 초기 북한문학사의 평가=151
3. '친일문학' 활동의 은폐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문학=159
4. 항일혁명문학으로의 왜곡과 수령형상문학으로의 부각=165
5. 북한문학사가 시인 이찬을 소화한 방식=173
북한미술의 기원_[홍지석]=177
1. 기원 찾기, 또는 기원 만들기=177
2. 북한에서 카프미술의 위상 변화=180
3. 항일혁명미술의 발굴과 위상 강화=190
4. 북한미술의 실질적 기원으로서 조선화의 위상 강화=198
5. 내용의 기원과 형식의 기원=206
북한 혁명연극의 기원과 연극 <성황당>_[박덕규•김미진]=211
1. 북한의 연극과 연극혁명=211
2. 혁명연극의 의미=214
3. 갈등 표출 양상=222
4. 나오며=233
북한 ‘민요풍 노래’에 나타난 민요적 전통성_[배인교]=237
1. 북한의 신민요 계승: '민요' 스타일 노래=237
2. 민요풍 노래의 음계 검토=241
3. 민요풍 노래의 전통과 변형=258
4. 민요풍 노래의 음악사적 의의=262
찾아보기=267
유사자료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 |
지향과 현실 : 남북문화예술의 접점 = Intention and Reality: Interfa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Culture |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 | 경진 | |
![]() |
이데올로기의 꽃 : 북한 문예이론와 북한체제 = Flowers of Ideology: Social Production of Art amp; Literature in North Korea |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김미진 외 공 | 경진 | |
![]() |
주체의 환영 : 북한 문예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 The Illusions of Juche: A Critical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rt amp; Literature Theory |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오창은 외 공 | 경진 |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