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검색
홈원문정보 검색

- 자료유형
- 단행본
- 서명/저자사항
- 통일교육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과거·현재·미래 /허문영;권오국 [공]책임저자
- 발행사항
- 서울:통일연구원,2011
- 형태사항
- 371 p. :도표 ;24 cm
- 개별표제
- 과거·현재·미래
- ISBN
- 9788984796072
- 일반주기
- 공저자 : 한만길,김영수,이영동,양정훈,전병길,박찬석,오기성,송두록,김병로,전영선,공용철,권희영,정용길,김흥광,이애란
표제관련정보: 2011 KINU 통일교육포럼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
1 | BE3893 | 통일교육원 | 340.911 허37ㅌ 2 | 대출가능 | 출력 | |
2 | BE3894 | 통일교육원 | 340.911 허37ㅌ 3 | 대출가능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목차
발간사 5
사회통일교육 12
통일교육의 방향과 체계 / 한만길 13
I. 문제제기 13
II. 통일교육의 변화과정 15
III. 통일교육의 방향과 체계 22
IV. 통일문제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 대하여 27
사회통일교육의 효율적 실행방안 / 김영수 29
I. 기존 사회통일교육의 문제점 29
II. 사회통일교육 현장의 목소리 31
III.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요청 37
IV.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매뉴얼 제안 42
V. 사회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누가, 무엇을, 어떻게 44
VI.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천과제 50
참고문헌 52
사회통일교육의 현황: 문제점과 해결방안 / 이영동 53
I. 서론 53
II. 사회통일교육 현황 55
III. 사회통일교육의 문제점 75
IV. 해결방안 및 과제 78
참고문헌 85
가상공간과 사이버공간을 활용한 통일교육 / 양정훈 86
I. 서론 86
II. 이러닝을 통한 통일교육 88
III. 이러닝 콘텐츠 분석에 따른 통일교육 93
IV. 가상세계의 통일교육 100
V. 통일교육의 활용도 104
VI. 결론 108
참고문헌 110
청년층을 위한 통일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전병길 113
I. 100여 년 전 젊은 그들 113
II. 청년통일운동 3세대 115
III. 2011년 한국청년들 121
IV. 청년들을 위한 통일교육을 위해서는 124
V. 마치며 133
시민ㆍ사회단체 통일교육 수요조사 분석 / 허문영;권오국 134
I. 서론 134
II. 통일교육 운영현황 136
III. 통일교육 콘텐츠 제작방향 143
IV.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148
V. 결론 153
학교통일교육 155
학교통일교육의 문제점 및 나아가야 할 방향: 통일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언 / 박찬석 156
I. 서론 156
II. 학교통일교육의 변천 과정 158
III. 학교통일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61
IV. 학교통일교육에 대한 성과 분석과 미래 논의 174
참고문헌 176
학교통일교육의 주요 방향에 대한 성찰 / 오기성 178
I. 서론 178
II. 학교통일교육의 실태 179
III. 학교통일교육의 문제점 185
IV. 학교통일교육의 방향 193
V. 결론 204
참고문헌 205
현행 학교통일교육체제의 문제점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교통일교육체제 추구 / 송두록 207
I. 현행 학교통일교육의 유형 및 특성 207
II. 우리가 추구해야 할 학교통일교육체제 214
III. 우리가 지향해야 할 학교통일교육체제와 실제 216
IV. 미래지향적 학교통일교육체제 추진이 어려운 이유 222
V.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교통일교육체제 추진 필요 224
학제적 사회통일교육 226
통일교육과 한반도형 평화인문학 / 김병로 227
I. 평화인문학의 필요성 227
II. 한반도형 평화인문학 230
III. 평화인문학 연구의 기본관점 233
IV. 맺으며: 평화인문학에 기반한 통일교육 238
통일교육과 인문학의 만남 / 전영선 239
I. 통일교육의 개념 239
II. 통일교육 현황 243
III. 통일교육의 이론과 현장 244
IV. 통일교육과 인문학 247
V. 통일에 대한 인문학의 시각 250
방송에서 바라본 통일교육 / 공용철 255
I. 들어가며 255
II. 잊혀져 가는 꿈, ‘통일’ 257
III. 통일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259
IV. 통일교육이 부실한 이유 262
V. 통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267
VI. 나오며 277
분열과 통합의 역사에 대한 회고와 전망: 지구사적 관점에서 / 권희영 279
I. 머리말 279
II. 20세기형 국가의 분열과 통일 280
III. 분열과 통합 과정의 분석 284
IV. 남북통일에 대한 시사점 292
V. 맺음말 295
종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통일교육 / 정용길 296
I. 머리말 296
II. 타 분단국 통일과정에서 종교의 역할 298
III. 통일교육에서의 종교문제 304
IV.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 종교계의 역할 309
V. 맺음말 314
참고문헌 316
탈북자의 시각 319
탈북자들의 사회통일교육 참여 현황 분석 / 김흥광 320
I. 들어가며 320
II. 탈북자들의 사회통일교육 참여과정에 대한 고찰 322
III. 탈북자 NGO별 통일안보교육 참여 현황 331
IV. 나오며 343
탈북자의 시선, 통일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 이애란 345
I. 서론 345
II. 탈북자의 시선으로 본 통일교육 현장의 문제점 351
III. 체험을 통한 통일교육 방안 356
IV. 결론 및 제언 359
[부록] 통일교육 콘텐츠 수요조사 설문지 361
판권기 3
표목차
사회통일교육 59
사회통일교육의 현황: 문제점과 해결방안 59
[표 1] 학교 교육과정 시기별 통일교육 내용상의 특징 59
[표 2] 통일교육 운영체계 60
[표 3] 통일교육 기본지침서의 활용 여부 62
[표 4] 통일교육을 위한 지침서의 활용 여부 62
[표 5] 통일교육 과정 현황 63
[표 6] 사회통일교육 과정 콘텐츠 예시 64
[표 7] 경실련통일협회 프로그램 68
[표 8] 세계평화여성연합 프로그램 69
[표 9] 어린이어깨동무 프로그램 69
[표 10] 좋은벗들 프로그램 70
[표 11] 통일교육문화원 프로그램 71
[표 12] 한국자유총연맹 프로그램 72
[표 13] 흥사단민족통일운동본부 프로그램 73
[표 14] 정부 및 시도 교육청 통일교육 예산 74
[표 15] 사회통일교육 실시에 대한 견해(일부 미응답) 80
[표 16] 통일교육지원법이 강화되어야 할 부분(일부 미응답) 82
가상공간과 사이버공간을 활용한 통일교육 91
[표 1] 2008년 사이버 통일교육센터 교육과정 91
시민ㆍ사회단체 통일교육 수요조사 분석 136
[표 1] 통일부 등록법인 136
[표 2] 조사대상 기관, 응답자 특성 분석 137
[표 3] 북한을 어떤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는가 148
[표 4] 통일관련 콘텐츠 세부주제 선호도 150
학교통일교육 160
학교통일교육의 문제점 및 나아가야 할 방향: 통일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언 160
[표 1] 교육과정에 따른 통일교육의 변천 160
학교통일교육의 주요 방향에 대한 성찰 / 오기성 181
[표 1] 도덕과 시수 181
현행 학교통일교육체제의 문제점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교통일교육체제 추구 209
[표 1] 고등학교 관련 교과목 내 통일교육 내용 209
[표 2] 서울시교육청 통일교육 시범학교 운영 현황(2006년~2010년) 210
[표 3] 현행 학교통일교육체제의 유형과 특성 214
[표 4] 우리가 추구해야 할 학교통일교육체제 215
학제적 사회통일교육 291
분열과 통합의 역사에 대한 회고와 전망: 지구사적 관점에서 291
[표 1] 소련 붕괴 후 탄생된 나라와 시기 291
[표 2] 20세기에 일어난 통일의 예 292
그림목차
사회통일교육 20
통일교육의 방향과 체계 20
[그림 1] 평화공존을 위한 통일교육 모형 20
시민ㆍ사회단체 통일교육 수요조사 분석 138
[그림 1] 연간 통일교육 프로그램 운영횟수 138
[그림 2] 통일교육 운영방식 139
[그림 3] 1회당 교육규모 139
[그림 4] 연간 교육대상자 규모 140
[그림 5] 재원마련 방식 140
[그림 6] 자체예산 편성규모 141
[그림 7] 교육담당자 5년간 연수경험 141
[그림 8] 강사조달 방법 142
[그림 9] 통일교육 자료 획득방법 143
[그림 10] 자료 입수시 애로사항 144
[그림 11] 교자재 자체제작 여부 144
[그림 12] 자체제작 교재형태 145
[그림 13] 배포용 교자재 중 교육효과성 145
[그림 14] 가장 효율적인 학습방법 146
[그림 15] 시청각 자료의 개발 필요성 146
[그림 16] PPT 강의 자료의 개발 필요성 147
[그림 17] 천안함 사태 이후 대북인식변화 149
학교통일교육 217
현행 학교통일교육체제의 문제점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교통일교육체제 추구 217
[그림 1] 교육과학기술부 조직도( ’11.2.25) 217
[그림 2]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과 업무 분담 218
[그림 3] 서울시교육청 관련 부서 주요 업무 내용 220
[그림 4] 강원도교육청 통일교육 담당 장학사의 주요 업무 내용 220
[그림 5] 모란봉 제1중학교 복도 벽에 부착된 김일성 어록 221
[그림 6] 평양 제4소학교 4학년 학생의 국어 교과서 221
유사자료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 |
한반도 평화체제 : 자료와 해제 | 허문영... [등]저 | 통일연구원 | 2007 |
![]() |
한반도 평화체제 : 자료와 해제 | 허문영;김수암 | 통일연구원 | 2007 |
![]() |
한반도 평화체제 : 자료와 해제 | 허문영;김수암 | 통일연구원 | 2007 |
![]() |
통일교육 =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 과거·현재·미래 | 허문영;권오국 [공]책임저자 | 통일연구원 | 2011 |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