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장자료 검색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현대전과 북한의 지역방위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현대전과 북한의 지역방위 /김병옥 지음
개인저자
김병옥,
발행사항
서울:선인,2011(c)
형태사항
372p. :;24 cm
총서사항
현대사 총서 ;035
ISBN
9788959334537
비통제주제어
북한 군사 정세,지역 방위,군사 방위,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등록번호 소장처 청구기호 도서상태 서비스 출력
1 BE5495 통일교육원 390.911 김43ㅎ 대출가능 출력

부가정보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장 들어가며
1. 북한의 지역방위체계, 왜 관심 갖게 되는가? = 19
2. 지역방위와 관련한 선행연구 = 23
3. 북한의 지역방위연구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26
4. 논문의 구성과 한계 = 29
제2장 지역방위체계 개념
제1절 지역방위체계에 대한 이해 = 33
1. 지역방위체계 구분 = 33
2. 체제에 따른 지역방위체계 운영 = 37
3. 지역자체 방위체계 3대요소 = 39
1) 지역무력체계와 지역군수 생산체계 = 40
2) 지역방위 지휘체계 = 41
제2절 우리나라 역사의 "민보(民堡)" = 44
제3절 외국의 사례와 시사점 = 47
1. 외국의 지역방위관련 활동 = 47
1) 이스라엘 = 48
2) 스위스 = 50
3) 중국 = 52
4) 한국 = 54
2. 외국의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 56
제3장 북한의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제1절 정의와 구성 = 59
제2절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형성의 역사적 기원 = 62
1. 항일투쟁의 경험: 소왕청 유격구 방어전 = 62
2. 한국전쟁의 교훈과 경험; 주요회의와 민간인 전시활동 = 64
3. 1960년대 국방관련 주요정책: 4대군사노선과 경제국방병진노선 = 67
1) 1960년대 초 대두한 자주국방건설 문제 = 67
2) 4대군사노선과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 70
3) 경제국방병진노선이 민수공장의 전시생산준비에 미친 영향 = 71
제3절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등장배경 = 74
1. 1990년대 조성된 정치ㆍ경제ㆍ군사적 환경 = 74
1) 한국의 군사 외교적 압박과 북한의 외교적 고립 = 74
2) 평화적 공존추구, 3차 7개년계획 미진 = 76
3) 북방삼각군사관계의 붕괴 = 78
(1) 소련의 도움에 의한 항공 및 해군전력 강화
(2) 소련과 중국의 대북군사 지원정책의 변화
4) 걸프전에 대한 인식과 전시동원 준비활동 강화 = 83
(1) 걸프전에 대한 북한의 인식
(2) 걸프전에 따른 전사동원 준비활동 강화
2. 국가방위체계 변화 = 88
1) 특정 년대에 따른 안보위기와 방위체계 운영 = 88
(1) 1950년대 안보위기와 선(線) 방위체계 운영
(2) 1960년대 안보위기와 면(面) 방위체계 운영
(3) 1980년대 안보위기와 공간방위체계 운영
2)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등장 = 93
3) 지역자체 방위체계 운영 전환 = 96
제4장 북한의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형성 및 강화
제1절 형성 및 강화과정 개요 = 99
제2절 민방위무력체계 형성: 자립적 역할 강화 = 101
1. 북한의 준군사무력과 민방위무력 = 101
2. 지역방위에서 민방위무력 활동의 자립화 조건 = 104
3. 민방위무력체계 형성을 위한 활동 = 105
1) 민간인 군사동원조직의 창성과 운영 = 106
(1) 첫 민간인 군사동원조직 창설배경
(2) 노동적위군(노동적위대) 운영
(3) 지방군(교도대) 운영
(4) 붉은청년근위대 운영
2) 향토예비군 운영방식의 민방위무력 확대 = 117
4. 민방위무력체계 강화활동 = 121
1) 노동적위대 운영체계 변화 = 121
2) 건설돌격대의 준군사조직 개편 = 123
3) 정규무력과 합동훈련 강화 = 125
4) 민방위사령부 신설을 통한 역할 강화 = 126
(1) 민방위사령부 신설과 지역방위의 영향
(2) 민방위사령부와 노동적위대 총사령부
제3절 전시군수생산체계: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 130
1. 북한의 방위비축과 군수물자동원 = 130
1) 비축과 방위비축 = 130
2) 군수물자동원 = 132
(1) 전시비축 생필물자: "4호물자"
(2) 최고사령부 예비물자: "5호물자"
3) 군수동원총국의 전시보급물자 비축 = 138
2. 산업동원과 북한의 전시생산동원 = 140
1) 산업동원 개념과 특징 = 140
(1) 산업동원의 개념
(2) 산업동원 체계 운영에 따른 특징
(3) 민수공장 산업동원준비와 관련한 특징
2) 북한의 '전시생산준비 5대과제' = 144
3) 북한의 전시생산준비 원칙 = 146
4) 군수산업에 종사하는 공장유형과 운영방식 = 147
3. 전시군수생산 자립화에 대한 이해 = 150
1)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조건과 구분 = 150
2) 전시동원공장의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단계 = 152
4.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형성을 위한 활동 = 153
1) "군수공장 간부화"와 전시군수생산 반자립화 = 153
(1) 군수공장 간부화 방침 제시와 그 의미
(2) 전시군수생산 반자립화 추진배경
2) 병진공장 운영과 전시군수생산 반자립화 = 157
(1) 반자립화의 거점 - 병진공장 조직
(2) 1980년대 국 현대화 양상
(3) 군수공장 구조조정과 3ㆍ18동원대 창설
(4) 3ㆍ18동원대 임무와 역할
(5) 3ㆍ18동원대 훈련
(6) 3ㆍ18동원대 지휘체계와 참여기관 역할
(7) 3ㆍ18동원대와 전시생산대
(8) 3ㆍ18동원대와 노농적위군
3) 군수동원과의 운영과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 169
(1) 전시동원공장 군수동원과 조직배경
(2) 군수동원과의 사업내용
(3) 전시동원계획 작성절차와 방법
(4) 전시동원계획 종류와 내용
(5) 군수동원과의 전시설비준비
(6) 군수동원과의 갱도준비
(7) 군수동원과의 이설전개훈련
(8) 군수동원과와 일용동원과
5. 전시군수생산 자립화 강화활동 = 184
1) 군수동원과 전시생산준비에 대한 통제강화 = 184
2) 군수동원과 사업보장 대책 = 186
제4절 지역방위 지휘체계 형성: 당(중앙) 군사위원회 = 188
1. 사회주의 체제 운영과 당 군사위원회 = 188
2. 지역방위에서 당중앙 군사위원회와 국방위원회 역할 = 191
1) 당중앙 군사위원회와 국방위원회 역할비교 = 191
2) 국방위원회에 비한 당중앙 군사위원회 활동의 양호성 = 192
3. 지역방위 지휘체계 형성을 위한 활동 = 195
1) 민방위무력 지휘체계 수립 = 195
(1) 노동적위대 총사령부 조직
(2) 민방위무력에 대한 지휘체계 강화
2) 전시군수행산 지휘체계 수립 = 199
3) 군령된 획득을 통한 지방군 지휘체계 수립 = 201
4. 지역방위 지휘체계 강화활동 = 203
제5절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형성의 특징 = 204
1. 형성순위 및 방법에 따른 특징 = 204
2. 형성전략에 따른 특징의 원인 = 206
제5장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운영구조
제1절 운영의 거점-도(道) 행정단위 선정 = 209
1. 전시대비 지역건설 원칙 = 209
2. 지역의 생산토대와 지역적 거점-도 = 212
3. 한국전쟁 경험과 행정적 거점-도 = 215
제2절 도(도) 방위체계의 운영구조와 관련기관의 역할 = 218
1. 도 방위체계의 운영구조 = 218
2. 도 인민위원회 6국의 기능과 역할 = 219
3. 도내 상설적 및 비상설적 기구의 역할 = 221
4. 2경제위원회와 전시동원총국(6총국) = 222
5. 김경석 민방위대학 = 225
제3절 도 방위체계 운영과 관련한 대책 = 226
1. 권한 분산방식의 방위분권화 실행 = 226
1) 분권화에 대한 이해 = 226
2) 방위분권화와 1990년대 분권화 양상 = 228
2. 정규군 개편과 제대군인 배치 = 230
3. 대중운동을 통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 232
1) 북한의 대중운동 유형 = 232
2) 대중운동의 목적과 당국이 처한 어려움 = 234
3) '군민일치모범군 쟁취운동'과 '소왕청 정위군 창조운동' = 237
4. 전시동원 준비 판정검열 강화 = 239
제4절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운영의 특징 = 242
1. 운영주체: 노동당의 직접적인 통계 = 242
1) 지역자체 방위체계 운영과 노동당 활동의 양호성 = 242
2) 노동당에 의한 민방위종사자 양성 = 243
2. 운영수단: 혁명전쟁론 구현 = 245
3. 운영방법: 민간인 전시동원 극대화 = 247
1) 지역방위 수요의 자체해결 = 247
2) 민간인 전시동원 준비활동의 극대화 = 248
제6장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평가 및 전망
제1절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운영의 영향 = 253
1. 전 인민적 방위체계 운영지원 = 253
2. 민수산업의 군수화 = 255
1) 민수산업의 군수화에 대한 이해 = 255
(1) 민수산업의 군수화 의미와 구분
(2) 북한의 민수산업 군수화 역사
2) 민수산업의 군수화 양상 = 258
(1) 인민무력부의 활동과 민수산업의 군수화
(2) 2경제위원회의 운영과 민수산업의 군수화
3) 민수산업의 군수화 원인 = 263
(1) 선군경제구조에 대한 북한의 인식
(2) 군 조사자들에 대한 공급능력 약화와 수요증가
4) 민수산업의 군수화 영향 = 270
(1) 민생난 지속의 원인을 통해 본 영향
(2) 국방공업의 개념변화를 통해 본 영향
3. 지역의 군사적 자립 = 277
1) 지역의 경제적 자립 속에 군사적 자립 강화 = 277
2) 지역의 경제적 자립의 침체와 군사적 자립의 표면화 = 279
4. 전시동원준비 활동의 이원화 = 282
5. 전시동원조직을 통한 주민통제 = 284
1) 북한사회에서 주민통제 수단과 내용 = 284
2) 주민통제 수단작동의 한계와 전시동원조직 통계 = 289
(1) 주민통제 수단작동의 한계
(2) 주민통제 수단작동의 환경과 전시동원조직 통제
6. "보이지 않는 사단(The Invisible Division)" 효과 = 293
제2절 북한에서 민방위무력 활동의 자립화 가능성 = 295
1. 지역방위에서 민간인 역할에 대한 관심배경 = 295
2. 민간인 위주 지역방위 활동 가능성 = 296
1) 총력전 체제운영과 민간인 전시동원 준비활동 = 297
2) 민군관계와 민간인 전시동원 수준 = 299
(1) 민군관계 모델
(2) '군사위원회 국가모델'과 민간인 전시동원
3) 북한체제 운영과 민방위무력의 자립적 역할 = 303
제3절 지역자체 방위체계 운영과 시대적 지향 = 306
1. 자주전력과 민간인 전시동원 준비활동 = 308
2. 민간인 전시동원의 시대적 지향의 일탈 = 311
제4절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의 전망 = 311
1. 최근 북한이 직면한 위기와 지역방위체계 변화방향 = 311
1) 북한의 대내외적 위기에 대한 함의 = 311
2) 시나리오에 따른 위기양상과 최근 북한의 위기 = 312
3) 시나리오를 통해 본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변화방향 = 314
2. 핵보유와 지역방위체계 운영의 영향 = 318
3. 민방위무력 중심 지역방위체계 3대요소 운영전망 = 321
제7장 나오며
참고문헌 = 331
부록: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과 명령 제00163호 = 347
찾아보기 = 359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