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검색
홈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 자료유형
- 단행본
- 서명/저자사항
- 한·중앙아시아 인적자원의 교류현황과 활성화 방안 =Korea and Central Asis :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human capital exchange /윤성학;김영진;김일겸;김안국;홍미희;성동기;이시영 [공]저
- 발행사항
- 서울:대외경제정책연구원,2011
- 형태사항
- 319 p. :도표 ;24 cm
- 총서사항
- 연구자료 ;11-39
전략지역심층연구 논문집 ;11-13
- 총서부출표목
- 연구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1-39
- 대등표제
- Korea and Central Asis :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human capital exchange
- ISBN
- 9788932220642 (세트)
9788932222769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321-327]
- 일반용주기
- 영어 요약 있음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
1 | BE2418 | 통일교육원 | 320.5 연16 11-39 | 대출가능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제2장 중앙아시아의 인적자원과 경제성장
1. 인적자원과 경제성장
가. 인적자본론
나. 인적자본 축적과 경제성장
2. 중앙아시아의 인적자원 형성
가. 학교급별 학생 수
나. 학교급별 등록률
다. 전공별 교육 분포
3. 중앙아시아의 인적자원 활용
가. 생산가능인구 및 경활인구
나. 업종별 취업 규모
다. 고등교육 이수자의 실업률과 청년 고용률
4. 중앙아시아 국가 교육의 경제성장 기여
5. 중앙아시아 인적자원의 특징과 정책 과제
제3장 한 · 중앙아시아 정부간 인적교류와 과제
1. 한 · 중앙 아시아 정상 회담
가. 한 · 카자흐스탄 정상회담
나. 한 · 우즈베키스탄 정상회담
다. 한 · 투르크메니스탄 정상회담
2. 한 · 중앙아시아 정부간 고위급 회담
가. 한 · 카자흐스탄 고위급회담
나. 한 · 우즈베키스탄 고위급회담
다. 한 · 투르크메니스탄 고위급회담
라. 한 · 키르기스스탄, 한 · 타지키스탄 고위급회담
3. 한 · 중앙아시아 협력 포럼
4. 한 · 중앙아시아 고위급 교류와 성과
5. 한 · 중앙아시아 정부간 인적교류의 과제
제4장 한 · 중앙아시아 이주노동자 현황과 과제
1. 중앙아시아의 정치경제와 노동이주
가. 독립 이후 중앙아시아의 체제전환과 경제실적
나. 중앙아시아의 인구이동과 노동이주
2. 중앙아시아 역내 노동이주 현황
가. 역내 이주노동자 송출국
나. 역내 이주노동자 유입국
다. 노동이주와 송금
3. 한국의 중앙아시아 이주노동자 현황
가. 한국의 이주노동자 현황
나. 국내 중앙아시아 이주노동자 현황
다. 국내 중앙아시아 이주노동자 실태조사(2008~11년)비교
4. 중앙아시아 이주노동자 관련 정책과제
가. 우리나라 이주노동 관련 정책의 변천과정
나. 한 · 중앙아이사 이주노동 관련 정책의 과제
제5장 중앙아 결혼이주여성 인적자원 활용 현황과 지원방안
1. 결혼이주와 다문화가족의 형성
가. 전국 결혼이주민 현황
나. 중앙아시아 출신 결혼이민자 현황
2. 중앙아시아 결혼이주민 특성
가. 분석자료 개요
나. 중앙아시아 3국 결혼이주여성 일반 특성
3. 결혼이주여성 인적자원 특성과 활용현황
가. 교육수준과 한국어 실력
나. 모국에서의 취업경험과 취업분야
다. 현재의 취업현황
라. 비취업 이유와 향후 취업욕구
마. 요약 및 시사점
4. 결혼이주여성 인전자원 활용 지원방안
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현황과 지역특수성 반영의 필요성
나. 중앙아시아 결혼이주여성 지원 방안
제6장 한 · 중앙아시아 교육분야 인적자원의 교류 현황과 지원방안
1. 교육분야 인적교류 현황
가. 중앙아시아 학생들의 한국 유학 현황
나. 한국 학생들의 중앙아시아 유학 현황
다. 중앙 아시아에서의 한국 관련 교육 현황
2.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인적자우너 지원 교육 관련 현황과 정책
가. 중앙아시아 학생들의 한국 유학 프로그램
나. 연수 유학
3. 중국과 일본의 사례 연구
4. 교육분야 인적자원 교류와 활성화 방안
제7장 중앙아시아 고려인 인적자원의 실태 및 한국의 지우너 현황과 활성화 방안
1. 독립 초기 중앙아시아 고려인 인적자원의 실태와 역할
2. 독립 이후 고려인 사회의 인적자원 동향 분석
3. 2000년 이후 전개된 고려인 인적자원에 대한 동향 분석
가. 한국 정부와 고려인 관계의 발전사
나. 2000년 이후 전개된 한국 정부의 고려인 지원 현황과 특정
다. 한국의 지원이 가지는 문제점
4. 한국의 현실적 지원 전략과 활성화 방안
제8장 결론
1. 인적자원 육성 및 인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
2.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인적교루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유사자료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