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검색
홈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 자료유형
- 단행본
- 서명/저자사항
- 북한 체제전환의 전개과정과 발전조건 =(The) process and conditions of transition in North Korea /윤대규 엮음;김갑식;양무진;양문수;이무철;최봉대;최완규 [공]지음
- 발행사항
- 파주:한울,2008
- 형태사항
- 237 p. ;23 cm
- 총서사항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북한연구 시리즈 ;29
- 대등표제
- (The) process and conditions of transition in North Korea
- ISBN
- 9788946050587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기금정보주기
- 한국학술진흥재단의 `2005년도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임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
1 | BE1786 | 통일교육원 | 340.911 윤22부 | 대출가능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제1장 북한 정치체제의 변화: 특징과 한계 그리고 전망|김갑식
1. 서론
2. 정치체제 변화의 전개과정과 특징
3. 당적 권위의 균열 징후
4. 북한식 정치개혁과 변화전망
5. 결론에 대신하여: 북한 정치개혁을 위한 제언
제2장 주체사상과 선군사상: 지배 이데올로기의 변화 가능성|양무진
1. 서론
2.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과 이데올로기
3. 주체사상의 사회적 통제력 약화
4. 위기 상황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변용
5. 새로운 시대정신 선군사상
6. 결론
제3장 북한의 경제조정 메커니즘의 변화 경향 분석: 축적체제와 조절양식을 중심으로|이무철
1. 서론
2.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적 축적체제와 조절양식
3. ‘고난의 행군’과 북한 경제조정 메커니즘의 와해
4. 북한당국의 정책적 대응과 국가-사회관계
5. 결론
제4장 소유제 변화 없는 시장화 정책: 계획과 시장의 관계|양문수
1. 머리말
2. 7·1 조치에 대한 총론적 평가
3. 7·1 조치 이후 계획경제 부문의 변화
4. 7·1 조치 이후 시장경제 부문의 변화
5. 계획경제 부문과 시장경제 부문의 관계 변화
6. 전망: 이중경제구조의 미래
제5장 1990년대 말 이후 북한 비공식경제 활성화의 이행론적 함의|최봉대
1. 머리말
2. 이행기 비공식경제 활성화와 사적 자본의 본원적 축적 문제
3. 북한 비공식경제의 활성화와 국가의 ‘약탈적’ 개입
4. 북한 비공식경제의 특성과 임시노동시장의 제한성
5. 남는 문제들
제6장 북한의 대외정책과 국제협력: 탈냉전 이후 ‘피포위’ 의식의 심화와 세계체제로의 편입 노력을 중심으로|최완규·이무철
1. 서론
2.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국제협력
3. 북한의 ‘피포위’ 의식의 심화와 대외정책
4. 세계체제 편입을 위한 전방위 외교와 국제협력
5. 결론
유사자료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 |
북한에 대한 불편한 진실 = Inconvenient truth on North Korea | 윤대규 지음 | 한울 | 2013 |
![]() |
(惡의 축 집행부) 국가안전보위부의 內幕 | 윤대일 저 | 月刊朝鮮社 | 2002 |
![]() |
북한의 체제전환과 국제협력 = Transition in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윤대규 엮음 | 한울 | 2009 |
![]() |
북한에 대한 불편한 진실 = Inconvenient truth on North Korea | 윤대규 지음 | 한울 | 2013 |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