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장자료 검색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 /이삼성 지음
개인저자
이삼성
발행사항
파주:한길사,2018
형태사항
920 p. :삽화 ;23 cm
개별표제
핵무장국가 북한과 세계의 선택
ISBN
9788935670529
서지주기
참고문헌(p. 881-904) 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한반도,한반도정세,평화,핵문제,북핵,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등록번호 소장처 청구기호 도서상태 서비스 출력
1 BE6559 통일교육원 349.81 이51ㅎ 대출가능 출력

부가정보

목차
다시 전쟁과 평화의 갈림길에 선 이 땅에서│『한반도의 전쟁과 평화』를 내면서 -7

제1장 미국을 위협하는 핵무장국가 북한의 완성
1. 대량생산 국면에 진입한 북한 핵무기 -39
2. 북한의 다종화된 탄도미사일 대량생산-48
3.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북한의 ICBM -54
4. 탄도미사일에 집중한 북한의 전략적 선택과 집중-71
5. 미국이 예상 못 한 북한 핵무력의 약진 -72
6. 한반도에서 북미 간 전략적 균형(공포의 균형)은 이미 성립-75
7. ICBM과 결합한 핵무장과 북한 민족주의 정치이념 -78

제2장 선제타격과 참수작전이라는 잠꼬대
1. 스마트 무기들에 의존하는 안전한 전쟁의 위험한 판타지 -85
2. 좀더 확실한 공멸전략으로 전락한 남한의 대북 선제타격론 -100
3. 좀비국가에만 통하는 ‘첨단전쟁’, 좀비와는 거리가 먼 북한 -108
4. ‘김정은 참수작전’은 왜 정치적 기만이며 잠꼬대인가 -121

제3장 미국 MD와 동아시아 핵군비경쟁 그리고 사드
1. 미사일방어의 환상과 선제타격론은 공생관계 -133
2. 미국의 MD 구축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142
3. 중국의 핵무기정책과 전략핵(ICBM & SLBM) 현대화-144
4. 중국 중거리급 핵전력 확대와 미국 동아태 패권의 위기 -152
5. 미국의 위기의식의 소재와 대응: MD 확대 구축 -157
6. 조잡한 미사일 한 발을 다섯 발 쏘고도 못 맞힌 패트리엇-168
7. 북한 미사일이 패트리엇과 사드를 무력화할 수 있는 이유 -171

제4장 한반도 핵문제의 위기와 기회의 역사
1. 1958년 이후 33년간 미국 전술핵무기기지였던 한국 -175
2. 박정희와 제주도의 미국 핵무기·군사기지화 시도 -181
3.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핵무장 시도와 좌절 -187
4. 1990년대 초 북한 핵시설 개요 -192
5. 1990년대 초 북한 핵 프로그램의 성격: 평화적 이용과 군사적 전용 사이에서-194
6. 1994년 북한 핵능력에 대한 미국의 판단 --200
7. 1994년 전쟁 위기의 출발점: IAEA와 미국 강경파의 동맹-204
8. 1994년 5월 북한의 핵연료봉 교체 작업과 IAEA 사찰 문제의 진상 -211
9. 1994년 6월 중순의 한반도 전쟁 위기의 전개 -220
10. 전쟁 위기 해소 과정: 북한의 제안을 주목한 해리슨과 카터-229
11. 중국의 조용한 양면 외교 -237
12. 1994년 한국과 북한의 외교 그리고 김일성 사후 한국 -242
13. 1994년 8월 북미 공동성명과 10월 제네바합의: ‘일괄타결’ -251
14. 공화당 보수혁명과 함께 시작된 제네바합의의 시련 -259
15. 럼즈펠드 보고서와 대포동 발사로 확인된 북한 미사일 능력 -265
16. 기로에 선 클린턴 행정부의 선택: 1999~2000년의 북미대화 -268
17. 페리 프로세스, 남북정상회담 그리고 북미대화 -270
18. 대북송금의 의미: 북미 미사일협상 타결의 대가 -276

제5장 제네바합의는 어떻게 파괴되었나
1. 2001년 3월의 김대중-부시 면담: 파국의 예고 -285
2. 부시 행정부의 강경파와 협상파 그리고 라이스 -290
3. 2002년 10월 켈리 방북의 원래 목적과 그 변질 -292
4. 2002년 10월 평양에서 오간 대화: 미국의 설명 -295
5. 제네바합의 파기와 북한의 대응:
핵 보유는 주장하고 우라늄 핵 프로그램은 부인-298
6. 2003~2004년 미국의 정보평가에 대한 중국과 미국 언론의 문제 제기-301
7. 2004년 3월 미 의회조사국 보고서 -309
8. 2004년 초 칸의 자백을 둘러싼 논란 -314
9. 2006년 무샤라프 회고록이 2002년 미국이 가진 정보의 실체를 말해준 것-318
10. 2010년 헤커가 목격한 북한 우라늄농축 시설이 말해주는 것 -325
11. 제네바합의 파기는 정당하고 현명한 선택이었나 -333
12. 2002년 미국이 불충분한 증거를 갖고 제네바합의 파기를 서두른 이유 -335
13. 2002년 3월~2003년 봄 대북송금 폭로와 특검수사의 의미 -338

제6장 북한 핵무장의 시작과 완성을 재촉한 또 하나의 10년
1. 북한 핵무장의 시작에서 완성에 이르는 또 다른 10년 -345
2. 북한 최초 핵실험 전야의 기회와 상실: 2005년 9·19공동선언과 BDA 사태-346
3. 이명박 정부: 2009~10년의 북미대화와 천안함 사태 처리 -354
4. 천안함 침몰, ‘어뢰에 의한 폭침’ 결론에 대한 해소되지 않는 의문-361
5. 2018년 2월 김정은은 왜 김영철을 대표로 서울에 보냈나 -367
6. 민주주의와 평화 -377
7. 박근혜 정부: 대북 선제타격론 본격화와 그 결과-385
8. 한국 대북정책의 분열, 미국 대외정책의 분열, 그 둘의 파괴적 교차

제7장 한국 핵무장과 전술핵 재배치는 왜 답이 아닌가
1. 2017년 9월 이후 크게 확산된 한국 핵무장·전술핵 재배치론-389
2. 독자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논리와 그 허구성 -394
3. 한국 독자 핵무장: 쉬운 답이지만 현실성 없고 위험한 선택 -398
4. 미국의 전술핵무기정책: 오바마 행정부와 트럼프 행정부 -402
5. 유럽의 경험에 비유한 미국 전술핵 한국 재배치 논의의 실과 허-409
6. 한국은 한반도 비핵화 노력의 중심을 지켜야 한다 -416

제8장 비핵국가의 핵무장과 승인을 둘러싼 권력정치의 지정학
1. 비핵국가의 핵무장 패턴 -425
2. 이스라엘의 핵무장과 미국-이스라엘 비밀협정 -427
3.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 백인 정권 -433
4. 인도의 핵무장과 미국의 묵인과 협력 -441
5. 파키스탄의 핵무장과 중국 그리고 미국 -449
6. 비핵국가 핵무장 승인의 정치적 성격 -459

제9장 중국의 대북 경제관계와 군사동맹의 향방
1. 2017년 북중 경제관계의 추이 -465
2. 2017년 8월과 9월 유엔의 대북 경제제재결의안 -469
3. 2017년 10월 미국,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 -472
4. 미국의 세 방면에 걸친 북한 경제 옥죄기와 중국 -476
5. 2017년 12월 유엔의 대북 제재결의안 -481
6. 나선 경제특구와 중국의 한반도 전략 -486
7. 두만강 하류 북·중·러 국경문제와 중국의 동해 출해권-490
8. 경제제재와 봉쇄효과는 왜 제한적인가 -495
9. 대북 경제제재의 인간적 대가의 인식 -500
10. 북중군사동맹 관계의 향방 -503
11. 북한 급변사태 가능성과 중국의 대북 동맹정책 -509
12. 북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기본 태도 -511
13. 중국 대북전략의 딜레마: 강력한 제재 동참은 북한의 자주외교 촉진-515

제10장 북한 급변사태 시 미국과 중국 그리고 한반도의 운명
1. 한국 통일담론에서 군사적 상상력의 압도와 북한 붕괴론 -519
2. 북한 붕괴는 한국 주도 흡수통일로 연결될까 -522
3. 북한 리더십의 미래 유형 -525
4. 북한 정부 붕괴 시 중국의 개입 유인-527
5. 중국이 한미동맹보다 더 신속하게 개입할 수 있는 이유-528
6. 북한 개입 후 중국의 선택에 대한 전망 -530
7. 중국 개입 시 예상되는 미중의 북한 ‘분할’협상: 한반도 재분단 -533
8. 북한 정부 붕괴 시 혼란과 핵무기: 1990년 러시아의 교훈 -541

제11장 미국의 핵전략과 비핵국가에 대한 핵테러 외교사
1. 핵무기 시대의 본질: 한 인간의 순간적 결정이 세상의 끝 -545
2. 다른 핵보유국에 대한 미국 핵전략의 진화-550
3. 비핵국가에 대한 미국의 핵전략: 핵무기테러주의의 역사 -565
4. 신생 핵무장국에 대한 미국의 핵전략 -583
5. 핵무기 시대에 ‘핵무기 없는 세계’의 꿈과 현실-584
6. 2000년대 미국 핵정책의 진동 -586

제12장 핵억지는 지속가능한가: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1. 핵무기 세계와 케네스 왈츠의 유토피아 -597
2. 스콧 세이건에게 핵무기 확산은 디스토피아 -599
3. 스리마일아일랜드에서 체르노빌과 후쿠시마를 예견한 ‘정상사고’론-602
4. 세이건과 ‘안전의 한계’의 정치적 차원 -607
5. 핵무기 세계에서 안전과 억지의 한계 -610
6. 인도와 파키스탄의 동시 핵무장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나 -612
7.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의 기원과 전개 그리고 결말 -621
8. 미사일 위기 속 카스트로와 쿠바인들의 인식과 행동 -631
9. 쿠마 위기의 교훈 1: 불완전 정보와 오인투성이 -634
10. 쿠바 위기의 교훈 2: 군사적 긴장 속 전쟁의 우발성 -641
11. 쿠바 위기의 교훈 3: 악마와의 협상과 약속이 때로 인류를 구한다-643
12. 핵 없는 세계를 향한 세 가지 방면의 노력과 그 현주소 -646
13. ‘핵무기 없는 세계’로 가는 두 가지 방법론의 긴장 -651
14. 미국 일각에서 제기되는 최소억지론 -657
15. 신의 가호에 의지하는 ‘핵억지’와 ‘핵안전’-659

제13장 한국의 선택
1. 북한 핵이라는 ‘전갈의 독침’: 우화와 동화 사이-661
2.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를 궁극 목표로 받아들일까 -664
3. 우리가 가야 할 길, 한반도 평화협정 -676
4. 한반도 평화협정체제를 견인할 수 있는 균형외교와 그 의미-683
5. 브란트의 ‘접근을 통한 변화’, 그 본질은 원교근친 -684
6. 북한의 대중국 자주외교와 북미 대타협의 공간 -685
7. 평화협정은 출구일 수는 있어도 ‘입구’는 아니라는 오해 -687
8. 한국 균형외교의 관리 대상인 미국 동아시아 군사전략의 관성-688
9. 한국이 미국을 설득해 이끌어야 하고 또 그렇게 할 수 있는 이유 -696
10. 국제정치에서 동맹과 균형외교 -704
11. 한국 언론과 방향을 잘못 잡은 조공외교·사대담론 -709
12. 브란트 동방정책 동력의 원천: ‘통일된 민족’의 꿈 -721
13. 분단국가체제 속 ‘민족’의 퇴장과 그 복원 -724
14. 전체주의 해체 과정에 진입한 북한과 한국의 선택-727

제14장 한반도 평화협정: 사유의 궤적
1. 국가보안법 재판과 ‘한반도 평화협정’을 위한 변론 -733
2. 전후 미국이 관련된 평화조약들의 형태 -752
3. 2005년 9·19공동성명과 2007년 2·13합의 -756
4. 제2기 부시 행정부가 대북협상을 택한 역사적 배경 -762
5. 한반도 평화조약을 북한의 비핵화와 어떻게 연결지을까 -771
6. 평화조약에는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까 -775
7. 평화조약에서 군사동맹과 주한미군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786
8. 외세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통제하는 문제 -790
9. 독일 통일 경험에 비추어본 ‘Korean National Unity and Right’의 문제-792
10.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사례로서 이란 핵협상 -796
11.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이란 핵협상의 시사점 -802

제15장 대분단체제 너머의 동아시아를 위해
1.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란 무엇인가 -805
2. 대분단체제라는 질곡의 출구,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811
3. 비핵무기지대 구상과 그 기원 -815
4. 인간이 거주하는 지역의 비핵무기지대들-820
5. 한일 시민사회와 동북아 비핵무기지대론 -831
6. 한반도 평화협정과 동북아 비핵지대 조약의 상호의존성-839
7. 동북아 비핵무기지대 조약과 일본의 문제 -841
8. 동북아 비핵지대를 군사동맹 문제와 분리할 필요성 -843
9. 동북아 비핵무기지대 조약 모델 재정리 -845
10. ‘동아시아 평화벨트’ 상상하기 -851
11. 대분단체제 안에서 한국의 위치와 진화-857
12. 동아시아 질서의 미래와 동맹 -864
13. 한반도 안보의 백년대계 -870
14. 한국 균형외교와 북한 자주외교의 상생-875

참고문헌 -881
찾아보기 -905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