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자료 검색
-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1 |
BE3654 |
통일교육원 |
349.11 북95 2
|
대출가능
|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北韓 社會主義 經濟體制의 變化에 관한 硏究 / 李鎬鐵[慶熙大] = 1
〈요약문〉 = 5
1. 서론 = 11
2. 사회주의 체제 변화의 정치경제 = 13
2.1 사회주의 체제 : 改革과 轉換 = 13
2.2 사회주의 경제체제 : 변화의 단계와 유형 = 20
3. 북한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형성과 위기 = 26
4. 북한 개혁, 개방의 정치경제 = 32
4.1 북한 경제침체의 원인 = 32
4.1.1 계획경제 = 33
4.1.2 경제자립, 중공업우선, 경제, 국방 병진 정책 = 37
4.1.3 국제정치적 충격 = 38
4.2 개혁, 개방의 추진과 한계 = 38
5. 결론 = 47
5.1 북한 경제체제 변화의 가능성과 방향 = 47
5.2 정책적 제언 = 50
참고문헌 = 57
社會主義 經濟의 體制轉換에 관한 硏究 / 崔信林[産業硏究院] = 61
〈요약문〉 = 65
Ⅰ. 연구의 목적과 구성 = 69
Ⅱ. 사회주의 경제의 체제전환 과정 = 70
1. 체제전환의 개념과 유형 = 70
가. 체제전환의 개념 = 70
나. 체제전환의 유형 = 72
2. 체제전환의 역사적 경험 = 74
가. 동유럽 국가의 체제전환 = 74
나. 중국의 체제전환 = 83
3. 체제전환의 주요논점 = 88
가. 체제전환의 'J 커브' 효과 = 88
나. 급진적 체제전환에 수반되는 산출감소의 기본 원인 = 91
다. 체제전환과 제도변화의 기본 성격 = 95
라. 체제전환 프로그램의 최적 배열 문제 = 97
Ⅲ. 경제통합에 수반된 체제전환의 과정 = 101
1. 독일 경제의 통일 과정 분석 = 101
가. 통화통합 = 101
나. 사유화 = 107
2. 체제전환과 경제통합의 경로 : 고용과 산출의 변동 과정 = 114
Ⅳ. 남북한 경제통합에 대한 시사와 전망 = 121
1. 북한 경제의 변화 전망 = 121
2. 남북한 경제통합에 대한 시사와 전망 = 124
가. 동유럽 국가 및 중국의 체제전환 과정의 시사점 = 124
나. 독일 경제통합 과정의 시사점 = 128
참고문헌 = 132
社會主義 體制轉換에 있어서 個人, 社會構造, 國家의 論理 / 吳炳勳[檀國大] = 139
〈요약문〉 = 143
Ⅰ. 서론 = 147
1. 체제전환의 개념적 기초 = 147
2. 본 연구의 이론적 전개방향 = 152
Ⅱ. 체제전환의 결정요인 분석 = 156
1. 체제전환의 거시적 측면 : 구조 결정론 = 156
2. 체제전환의 미시적 측면 : 개인적 합리성의 논리 = 160
3. 개체와 구조의 연계 : 상황론적 의사결정 = 163
가. 전망이론의 적용가능성 = 163
나. 사회변동과 이데올로기의 역할 = 165
다. 언술체계(discourse)로서의 이데올로기 = 166
Ⅲ. 체제전환에서 개인의 논리와 국가정책 = 170
1. 개인적 합리성의 논리 : 위험회피(risk-averse) = 170
2. 국가정책의 논리 : 행위자와 구조의 상호작용 = 175
3. 소결론 = 180
Ⅳ. 체제전환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 = 182
1. 정책행위자의 위기인식과 정책변화 = 182
2. 정책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 = 184
가. 체제전환이 북한체제에 미친 영향 = 185
나. 북한의 대응 : 정책변화의 시도 = 194
다. 정책변화에 대한 이데올로기의 제약성 = 202
Ⅴ. 결론 = 208
참고문헌 = 216
北·日 修交過程 및 修交가 北韓 經濟에 미칠 影響分析 / 董龍昇[三星經濟硏究所] = 225
〈요약문〉 = 229
Ⅰ. 들어가는 말 = 233
Ⅱ. 北韓과 日本의 經濟交流 推移 = 235
1. 50年代 : 北·日經濟關係의 始作 = 235
2. 60年代 : 經濟交流의 本格化 = 235
3. 70年代 : 全盛과 衰退 = 236
4. 80年代 : 朝朝經濟交流로의 轉換 = 237
5. 90年代 : 修交 交涉 = 239
Ⅲ. 北·日 修交協商 現況과 展望 = 245
1. 北韓이 計劃하는 對外關係 = 245
가. 對外關係에 대한 北韓의 懸案認識 = 245
나. 對美關係 改善의 經濟的 效果 = 246
다. 對日關係 改善의 經濟的 效果 = 248
2. 北·日修交 展望 = 249
Ⅳ. 日本資本流入에 따른 北韓經濟의 變化展望 = 250
1. 北韓의 經濟難 = 250
가. 에너지 不足 = 251
나. 食糧難 = 252
2. 經濟政策基調의 變化 樣相 = 254
가. 自立的 民族經濟 建設의 槪念 變化 = 254
나. 計劃經濟의 一部 變化 = 255
다. 經工業 優先主義의 模索 = 256
라. 緩衝期經濟의 3大 第一主義 採擇 = 257
北韓의 對外貿易 變化와 展望에 관한 硏究 / 李贊度[韓世政策硏究院] = 277
〈요약문〉 = 283
제Ⅰ장 서론 = 287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287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88
1. 연구범위 = 288
2. 연구방법 = 289
제Ⅱ장 북한의 무역기조와 정책변화 = 292
제1절 북한의 무역기조 = 292
1. 무역정책의 운영기조 = 292
2. 무역정책의 운영원칙 = 292
3. 무역정책의 변화 = 297
제2절 북한의 무역관리 및 정책수단 = 302
1. 무역형태 및 결제수단 = 302
2. 무역제도 및 정책수단 = 304
제Ⅲ장 북한의 대외무역 현황 = 308
제1절 개황 = 308
제2절 국별, 품목별 무역현황 = 308
1. 대중국 무역 = 308
2. 대소련 무역 = 311
3. 대일본 무역 = 314
4. 동유럽 무역 = 316
5. 대선진국 무역 = 318
6. 대개도국 무역 = 321
北韓의 勞動政策 / 金練鐵[平和問題硏究所] = 357
〈요약문〉 = 361
Ⅰ. 서론 = 365
1. 연구목적 = 365
2. 연구의 방법과 구성 = 366
Ⅱ. 노동관계의 구조적 조건 = 369
1. 계획경제 = 369
2. 수직적 계획체계 = 371
3. 수평적 분업관계 = 378
4. 소결 = 381
Ⅲ. 노동정책 = 382
1. 강제력 = 382
2. 유인(incentive) = 385
3. 조직화 = 398
Ⅳ. 노동과정 = 407
1. 자재낭비 = 408
2. 노동력 낭비 = 418
Ⅴ. 결론 = 426
참고문헌 = 429
유사자료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