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자료 검색
-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5 | 불교문헌을 통하여 본 고려시기 《천태종》에 대한 연구
6 | 제1장. 《천태종》의 의거경전과 기원
7 | 제1절. 《천태종》이 의거한 기본경전
15 | 제2절. 《천태종》의 기원과 파급
15 | 1. 중국에서의 《천태종》의 기원
23 | 2. 우리 나라에로의 《천태종》의 파급
30 | 제2장. 고려시기 《천태종》의 성립과 변천
30 | 제1절. 고려 초기 《천태종》성립의 전제
47 | 제2절. 고려시기 《천태종》의 성립과 변천
47 | 1. 고려시기 의천의 《천태종》성립
59 | 2. 고려시기 《천태종》의 변천
73 | 제3절. 고려시기 《천태종》의 지위
81 | 제3장. 고려 《천태종》이 불교계에 미친 영향
81 | 제1절. 우리 나라 불교계에 미친 영향
85 | 제2절. 주변나라 불교발전에 미친 영향
85 | 1. 중국불교에 미친 영향
88 | 2. 일본불교에 미친 영향
90 | 《비변사등록》에 대한 문헌학적연구
91 | 제1장. 《비변사등록》에 대한 서지적고찰
92 | 제1절. 관청일지로서의 《비변사등록》
96 | 제2절. 《비변사등록》의 정리방식
103 | 제3절. 《비변사등록》의 기사구성원칙
110 | 제2장. 《리조실록》, 《승정원일기》와의 대비고찰
110 | 제1절. 《비변사등록》과 《리조실록》과의 대비고찰
110 | 1. 사료포괄범위에 대한 대비고찰
114 | 2. 서술방식에 대한 대비고찰
116 | 제2절. 《비변사등록》과 《승정원일기》와의 대비고찰
116 | 1. 사료포괄범위에 대한 대비고찰
120 | 2. 서술방식에 대한 대비고찰
120 | 제3장. 《비변사등록》에 수록된 중요세칙들에 대한 사료적고찰
124 | 제1절. 정치관계 세칙들에 대한 고찰
124 | 1. 관청 및 관직제도와 관련한 세칙
134 | 2. 각종 법 및 금령과 관련한 세칙
147 | 제2절. 경제관계 세칙들에 대한 고찰
147 | 1. 창고설치와 관련한 세칙
154 | 2. 기타 경제관계 세칙
165 | 제3절. 군사관계 세칙들에 대한 고찰
165 | 1. 군영의 설치 및 변통과 관련한 세칙
173 | 2. 군제와 관련한 세칙
185 | 제4절. 대외관계 세칙들에 대한 고찰
185 | 1. 청나라와 관련한 세칙
187 | 2. 일본과 관련한 세칙
190 | 제4장. 《비변사등록》의 사료적가치와 부족점
191 | 제1절. 《비변사등록》의 사료적가치
198 | 제2절. 《비변사등록》의 부족점
202 | 문헌기록에 반영된 묘향산보현사에 대한 연구
203 | 제1장. 묘향산보현사관계 문헌기록들에 대한 고찰
204 | 제1절. 묘향산보현사를 반영한 고전문헌
204 | 1.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208 | 2. 《묘향산지》(妙香山誌)
211 | 3. 《묘향산소기》(妙香山小記)
214 | 4. 《향산이적》(香山異蹟)
219 | 제2절. 묘향산보현사를 반영한 비문기록
219 | 1. 사찰비(寺刹碑)
221 | 2. 사단비(祠壇碑)
222 | 3. 탑비(塔碑)
224 | 제2장. 묘향산보현사관계 자료들에 대한 고찰
224 | 제1절. 보현사의 건립과 연혁
225 | 1. 보현사의 건립
232 | 2. 보현사의 연혁
236 | 제2절. 묘향산보현사의 건축구성과 그 변화
236 | 1. 보현사 본사건축군의 형성과 그 변화
245 | 2. 보현사말사계통의 절유적
247 | 제3절. 묘향산보현사의 성격
252 | 제3장. 묘향산보현사관계 자료들의 가치와 제한성
252 | 제1절. 묘향산보현사관계 자료들의 가치
254 | 제2절. 묘향산보현사관계 자료들의 제한성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데이터가 없습니다. |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