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장자료 검색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통일의 신지정학 :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통일의 신지정학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편
개인저자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
단체저자명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발행사항
서울:박영사,2017(c)
형태사항
469 p. :삽화, 도표, 지도, 초상 ;23 cm
ISBN
9791130304229
일반주기
인수록
비통제주제어
정치 지리학,통일,국제 관계,북한,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등록번호 소장처 청구기호 도서상태 서비스 출력
1 BE4527 통일교육원 340.98 서65ㅌ 대출가능 출력

부가정보

목차
Part 1통일 논의의 신지정학적 기초-역사 및 정체성과 통일론
1. 조선과 한국: 두 지정학적 관념의 연속과 분화(김명섭)3
Ⅰ. 서론3
Ⅱ. 조선에서 한국(대한제국)으로의 변천과 연속성4
Ⅲ. 3·1운동 이후의 한국(대한민국 임시정부)과 조선9
Ⅳ.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분립17
Ⅴ. 결론23
2. 한국사회의 통일론과 지정학적 인식(이상근)30
Ⅰ. 글머리에30
Ⅱ. 전통적 지정학과 신지정학31
Ⅲ. 한국사회의 전통적 지정학 인식과 통일론34
Ⅳ. 2000년대 이후 시민사회의 통일론37
Ⅴ. 시민사회 통일론에 반영된 지정학적 인식48
Ⅵ. 맺 음 말54
3. 북한의 지정학적 담론과 그 변화: 북한의 국가정체성과 국가이익의 영토적 구성(남종우) 64
Ⅰ. 머 리 말64
Ⅱ. 이론적 고찰: 비판지정학과 지정학적 담론66
Ⅲ. 북한의 지정학적 코드: 국가이익의 영토적 구성72
Ⅳ. 북한의 지정학적 비전: 국가정체성의 영토적 구성76
Ⅴ. 민족주의???안보담론의 극대화와 핵무기 보유81
Ⅵ. 맺 음 말83
4. 통일논의에서 신지정학적 담론의 유용성과 확장의 문제(홍면기)90
Ⅰ. 문제의 제기90
Ⅱ. 길 잃은 통일논의: 인식론의 분열과 정책의 딜레마91
Ⅲ. 지정학적 위기의 재현과 신지정학적 통일논의98
Ⅳ. 신지정학적 통일논의의 확장과 과제105
Ⅴ. 맺는 말111

Part 2통일 관련 인식 및 담론의 신지정학적 이해
1. ‘신지정학’과 한국민의 통일인식(진영재)121
Ⅰ. 문제의식121
Ⅱ. 남한주민들의 통일인식과 ‘신지정학’의 연관성123
Ⅲ. 결론과 예상132
2. ‘민족’과 ‘국가’: 통일의 정당성을 무엇으로부터 찾을까? ―노태우∼이명박 정부의 통일백서?? 분석―(서정민)141
Ⅰ. 들어가며141
Ⅱ. 이론적 논의144
Ⅲ. 대북정책 정당화 담론에 대한 분석150
Ⅳ. 결론162
3. 신지정학 논쟁과 통일(지상현)171
Ⅰ. 들어가며171
Ⅱ. 자리가 운명을 결정하는가? 신지정학 논쟁172
Ⅲ. 신지정학의 세계175
Ⅳ. 지정학 담론과 통일181
Ⅴ. 신지정학 논쟁과 통일: 낙관론을 경계하며185

Part 3남-북한 실질협력의 재고찰
1. 접경지대 경제특구와 통일의 신지정학: 대만의 금문과 한국의 ‘서해평화협력지대’ 사업에서 나타나는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공간정치(박배균)193
Ⅰ. 들어가며: 통일은 우리에게 과연 무엇인가?193
Ⅱ. 국가 영토성에 대한 관계론적 이해: 이론적 배경196
Ⅲ. 대만의 금문과 한국 서해안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공간정치207
Ⅳ. 맺음말: 영토화―탈영토화의 롤러코스터 속에서
특구 전략의 가능성과 한계224
2. 초국경 소지역협력과 소다자주의 그리고 동북아 지역정치 변동(신범식)228
Ⅰ. 문제 제기228
Ⅱ. ‘동아시아’라는 지역 형성의 과거, 현재, 미래230
Ⅲ. 초국경 소지역협력과 동아시아235
Ⅳ. 동아시아의 소지역협력과 소다자주의242
Ⅴ. 통일한국의 등장과 동북아 지역질서 변동247
Ⅵ. 맺 음 말252
3. 북???중???러 경제협력(김병연)256
Ⅰ. 서론256
Ⅱ. 기존 연구 문헌: 지리적 요인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258
Ⅲ. 북???중???러 경제협력의 경제적 의의261
Ⅳ. 개발 계획 및 현황269
Ⅴ. 한계와 전망272
4.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과 한반도 신지정학(이승욱)277
Ⅰ. 북한 경제특구전략의 개괄277
Ⅱ. 북한 경제특구의 영역화 논리: “안보 우선, 경제 차선”285
Ⅲ. 북한 경제개발구 정책의 차별성: 분산화/분권화291
Ⅳ. 북한 경제개발구의 확대: 중국식 개혁개방?297
Ⅴ. 결론303

Part 4통일의 국제정치와 신지정학적 전망
1. 21세기 신지정학의 새로운 요소들과 한국의 통일외교(김태환)315
Ⅰ. 문제의 제기315
Ⅱ. 두 가지 변화의 동인―전통 지정학의 귀환과 기술혁신 316
Ⅲ. 신지정학의 새로운 요소들―어떻게 국제정치를 변화시키고 있는가? 319
Ⅳ. 신지정학의 관점에서 본 한반도 통일외교325
Ⅴ. 결론 332
2. 비판지정학과 한반도 연성복합통일론(전재성)340
Ⅰ. 비판지정학과 국제정치학343
Ⅱ. 동아시아 국제정치 복합조직원리와 비판지정학350
Ⅲ. 연성복합통일론과 비판지정학356
3. 세계질서의 변화와 한반도 통일의 신지정학(황지환)364
Ⅰ. 머 리 말364
Ⅱ. 미국의 단극질서 이후 동북아시아의 지정학365
Ⅲ. 탈냉전시대 안보구조와 한반도의 지정학367
Ⅳ.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지정학370
Ⅴ. 한반도 통일의 신지정학과 대북정책372
4. 사이버 공간과 한반도 통일: 복합지정학으로 보는 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김상배) 381
Ⅰ. 머 리 말381
Ⅱ.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385
Ⅲ. 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392
Ⅳ. 사이버 안보의 과잉담론399
Ⅴ. 맺 음 말406

Part 5풍수지리와 신지정학
풍수, 민족 동질성 찾기의 한 희망(최창조)413

▶?찾아보기465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