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장자료 검색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베트남 개방정책 성과와 북한사회에서의 함의 : 2003년 통일교육원 연구용역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베트남 개방정책 성과와 북한사회에서의 함의 :2003년 통일교육원 연구용역 /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제1분과 [편]
단체저자명
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제1분과;
발행사항
서울: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2003
형태사항
163 p. ;26 cm
개별표제
2003년 통일교육원 연구용역
비통제주제어
사회주의경제,북한경제정책,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등록번호 소장처 청구기호 도서상태 서비스 출력
1 BE3813 통일교육원 322.11 대91ㅂ 대출가능 출력

부가정보

목차
목차

베트남의 통일과정의 특성 및 한반도 통일에의 시사점 / 고용권 3

I. 서론 3

Ⅱ. 베트남에서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특성 4

Ⅲ. 베트남의 사회ㆍ문화ㆍ역사적 배경의 특성 7

Ⅳ. 베트남의 분단과 통일과정 9

1. 프랑스의 식민통치와 베트남인의 독립운동 9

2. 프랑스의 식민재건과 베트남인의 항전 11

3. 베트남의 분단과 미국개입 그리고 패배 (1954-1975) 12

4. 전쟁과 통일 15

5. 베트남전쟁에 대한 평가와 교훈 18

Ⅴ. 베트남 사회와 관료의 부패 19

1. 베트남사회의 관료부패 19

2. 부패의 발전과 함의 20

3. 부패에 대한 인식과 반응 21

4. 관료부패의 요인 22

5. 도이ㆍ모이 이후의 베트남의 변화 25

Ⅵ. 베트남 통일의 특성과 한반도 통일에의 시사점 27

1. 베트남 통일의 특성 27

2. 향후 한반도 통일에의 시사점 27

Ⅶ. 결론 29

참고문헌 31

베트남의 개혁개방정책과 한국경제발전 모델의 비교 / 김연철 33

I. 연구의 목적 34

II. 경제발전 모델과 정치체제의 성격 35

III. 한국 경제발전 모델의 변화와 개방정책 38

IV. 베트남의 개혁개방정책과 정치체제 42

1. 베트남 경제정책의 변화과정 42

2. 국유기업 개혁문제 46

3. 관료의 부패와 공산당의 문제 52

V. 한국이 베트남에 주는 시사점 55

VI. 결어 및 북한의 개혁 개방정책에 대한 함의 60

VII. 참고문헌 64

베트남의 도이모이정책의 성공경험과 북한사회 개방의 전망 / 이서행 66

Ⅰ. 서론 67

II. 선행연구의 경향 70

III. 통일베트남의 개방개혁정책-도이모이 75

1. 개혁개방정책의 역사적 배경 75

2. 도이모이 정책의 기본방향과 특징 79

3. 주요 개혁추진 현황 85

IⅤ. 외국기업의 대 베트남투자현황과 문제점 93

1. 베트남의 주요 경제현황과 한국의 대 베트남 투자현황 93

2. 외국기업 투자현황과 문제점 101

V. 도이모이정책의 성공경험과 북한사회의 적용전망 106

1. 햇볕정책과 북한사회변화론 106

2. 베트남식 북한사회의 변화와 개방정책의 과제 107

3. 베트남식 북한경제개혁정책의 가능성과 문제점 109

4. 북한의 평화통일선택과 한반도 균형적 발전 모델 112

Ⅶ. 결론 114

참고문헌 118

베트남 통일 이후의 사회통합과 남북한 통합에의 시사 / 최영표 120

Ⅰ. 서 : 문제의 제기 120

Ⅱ. 베트남 사회 통합의 배경 121

1. 역사적 배경 121

2. 남베트남 123

3. 북베트남 124

4. 식민통치하의 교육 126

Ⅲ. 베트남 사회 통합의 실제 126

1. 사회주의 교육체제로의 개편 127

2. 주민의 전면 재교육 실시 129

3. 대중매체를 통한 이념 교육 실시 131

4. 종교 탄압 132

Ⅳ. 베트남 사회 통합의 평가 134

1. 사회통합 영역상의 문제 134

2. 사회통합 과정상의 문제 136

3. 가치체계상 136

Ⅴ. 우리 사회통합에의 시사점 137

참고문헌 140

도이머이 이후 주민복지의 개선과 북한사회에의 시사점 / 한경현 141

I. 연구 배경과 목적 141

II. 기존 연구 비판과 자료 143

III. 농업제도 및 복지제도 변천의 역사적 경과 145

IV. 집단농업 제도 하의 주민 복지 148

V. 도이머이 정책 실시 이후의 주민 복지 150

VI. 북한 사회 개방에 주는 시사점 155

참고문헌 159

판권기 161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