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장자료 검색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중국의 G2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 제3부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중국의 G2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황병덕...[등편].제3부
개인저자
황병덕,1953-
김규륜,1958-
박형중
임강택
조한범,1963-
김종욱
신상진,1959-
이동률,1962-
이창형
이홍규,1968-
주재우,1967-
최강
발행사항
서울:통일연구원,2011
형태사항
355 p. :삽도, 도표 ;23 cm
총서사항
(KINU) 연구총서 ;2011-12-Ⅲ
ISBN
9788984796355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39 - 348
비통제주제어
중국,G2,한반도,평화통일,추진전략,KINU,연구총서,통일연구원,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등록번호 소장처 청구기호 도서상태 서비스 출력
1 BE2277 통일교육원 340.8 연16ㅌ 11-12-3 대출가능 출력
2 BE2278 통일교육원 340.8 연16ㅌ 11-12-3 2 대출가능 출력

부가정보

목차
요약

■ 제1장 서론
Ⅰ. 연구 목적
1.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2. 본질과 현상이 전도된 기존의 평화통일전략

Ⅱ. 연구 범위 및 내용
1. 연구 범위
2. 연구 내용

제1부 - 중국의 G2 부상과 미ㆍ중관계 변화 추이
■ 제2장 중국의 G2 부상과 중국 국력 비교평가 및 전망 (향후 10년 전후)
Ⅰ. 이론적 분석틀
1. 국력평가 이론과 정의
2. 국력평가 관련 선행연구 추세
가. 국력평가 연구의 기초
나. 랜드연구소의 국력평가 연구
다. 한반도선진화재단의 종합국력지수
3. 중국의 G2 부상 관련 국력평가 방식
가. 기본틀
나. 미국과 중국의 국력평가 기준

Ⅱ. 중국의 국력 비교평가 및 전망
1. 하드파워
가. 경제력
나. 군사력
2. 소프트파워
가. 현황
나. 평가
다. 전망
3. 중국 종합국력 비교평가 및 전망

Ⅲ. 중국의 부상이 동아시아 및 한반도에 주는 함의
1. 현 상황에서의 정책적 함의
가. 세계적 차원
나. 동아시아 차원
다. 한반도 차원
2. 향후 국제정세 추세에서의 정책적 함의
가. 세계적 차원
나. 동아시아 차원
다. 한반도 차원

■ 제3장 향후 미ㆍ중관계 변화 요인과 변화 추이
Ⅰ. 미ㆍ중관계 변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
1. 자유주의
2. 현실주의
3. 구성주의

Ⅱ. 향후 미ㆍ중관계의 변화 추이
1. 협력ㆍ대립적 미ㆍ중관계(현재~특정시기)
2. 대립 위주의 미ㆍ중관계(10년 이내)
3. 협력 중심의 미ㆍ중관계(10년 전후)

참고문헌
요약

제2부 -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ㆍ한반도전략 및 전망
■ 제4장 미국의 동아시아ㆍ대중(對中)전략 및 한반도정책
Ⅰ. 미국의 동아시아ㆍ대중전략
1. 동아시아ㆍ대중전략의 방향과 목표
2. 동아시아ㆍ대중전략의 주요 내용
가. 외교ㆍ안보
나. 경제
다. 소프트파워
3. 동아시아ㆍ대중전략의 전망
가. 동아시아ㆍ대중전략의 목표
나. 외교ㆍ안보
다. 경제
라. 소프트파워

Ⅱ. 미국의 한반도정책
1. 한반도정책의 목표
가. 대북(對北)억지를 통한 한반도 평화와 안정
나. 북핵문제의 해결과 비확산 추구
다. 북한체제 불안정사태 대비
라. 중국의 부상 및 지역안보구도 변화와 한ㆍ미동맹 역할
2. 한반도정책의 주요 내용
가. 대북한정책
나. 대한국정책
다.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본입장
3. 한반도정책 전망
가. 한반도정책의 목표
나. 대북한정책
다. 대한국정책
라.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본입장

■ 제5장 중국의 동아시아ㆍ대미(對美)전략 및 한반도정책
Ⅰ. 중국의 동아시아ㆍ대미전략
1. 동아시아ㆍ대미전략의 방향과 목표
가. 부상을 위한 안보환경의 관리
나. 역내 협력기반의 확대 및 대미견제
2. 동아시아ㆍ대미전략의 주요 내용
가. 외교ㆍ안보
나. 경제
다. 소프트파워
3. 동아시아ㆍ대미전략의 전망
가. 동아시아ㆍ대미전략의 목표
나. 외교ㆍ안보
다. 경제
라. 소프트파워

Ⅱ. 중국의 한반도정책
1. 한반도정책의 목표
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유지
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 강화
2. 한반도정책의 주요 내용
가. 대북한정책
나. 대한국정책
다.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본입장
3. 한반도정책 전망
가. 한반도정책의 목표
나. 대북한정책
다. 대한국정책
라.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본입장

참고문헌
요약

제3부 -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 제6장 기존 평화통일 추진전략 평가
1. 한ㆍ미동맹 강화론
2. 기타 한ㆍ미동맹 논의

■ 제7장 평화통일 외교ㆍ안보 추진전략
Ⅰ. 한국의 평화통일 외교ㆍ안보전략의 기본방향
1. 한반도 주변의 역학관계 변화
가. 동아시아지역의 정세변화: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의 '재발견'
나. 동아시아지역에서 변화하는 미ㆍ중관계: 협력과 대립의 변주곡
다.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구축의 필요성 증대
2. 한반도 평화통일 외교ㆍ안보 추진 기본전략
가. 한반도 평화통일과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구축의 선순환 구조
나. 한반도 평화통일 외교ㆍ안보 추진 기본전략
다.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구축에서 한국의 전략방향

Ⅱ. 평화통일 안보전략
1. 향후 미ㆍ중관계 변화가 한국 안보에 주는 영향
2. 미ㆍ중관계에서의 한국의 전략적 고려요소
3. 미ㆍ중관계 변화유형에 따른 안보적 대응방안
가. 협력ㆍ대립적 미ㆍ중관계
나. 대립 위주의 미ㆍ중관계
다. 협력 중심의 미ㆍ중관계

Ⅲ. 평화통일 외교전략
1. 동아시아 차원에서의 한국의 대미ㆍ대중전략
가. 대미전략
나. 대중전략
2. 한반도 차원에서의 한국의 대미ㆍ대중전략

Ⅳ. 동아시아 지역협력
1.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대한 관련국들의 기본입장
가. 미국
나. 중국
다. 일본
라. ASEAN
2.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구축 현황
가.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구축의 문제점
나. 동아시아 지역협력체계(architecture)
3.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구축의 기본내용
가. 동아시아 지역경제 협력구조
나. 동아시아 지역사회ㆍ문화 협력구조
다. 동아시아 지역안보 협력구조
4. 동아시아 지역협력구조로서 '동아시아 2020~2022체계(architecture)'
가. 협력ㆍ대립적 미ㆍ중관계
나. 대립 위주의 미ㆍ중관계
다. 협력 중심의 미ㆍ중관계
라. '동아시아 2020~2022체계'와 한국의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추진전략

■ 결론: 제8장 미ㆍ중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Ⅰ. 한반도 평화통일의 조건
1. 국제법적 조건
2. 국제정치적 조건
3. 군사적 조건

Ⅱ. 미ㆍ중관계 변화 유형별 평화통일 추진전략
1. 한반도 평화통일의 3대 과제
가. 국제법적 과제: 한국전쟁의 법적 종식과 한반도 평화협정
나. 국제정치적 과제: 미ㆍ중의 남북 교차승인
다. 군사적 과제: 한반도 비핵화
2.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가. 북한의 중국 편승전략과 대남정책
나. 중견국 한국의 평화통일 추진전략
3. 미ㆍ중관계 변화 유형별 평화통일 추진전략
가. 협력ㆍ대립적 미ㆍ중관계
나. 대립 위주의 미ㆍ중관계
다. 협력 중심의 미ㆍ중관계

참고문헌
최근 발간자료 안내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중국의 G2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 제2부 중국의 G2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 제2부 황병덕...[등편] 통일연구원 2011
중국의 G2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 제1부 중국의 G2 부상과 한반도 평화통일 추진전략 / 제1부 황병덕...[등편] 통일연구원 2011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