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검색
홈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
1 | BE7945 | 통일교육원 | 913.05 박97ㅁ | 대출가능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머리말
1장 도쿠가와 체제의 구조와 특징
1. 정치체제의 성격: 막부, 번 조정
2. 사무라이 신분과 쇄국 체제
| 더 살펴보기 | 많은 인구, 더 많은 도시인구
2장 일본은 어떻게 서양 문물을 신속히 수용할 수 있었나
1. 서양의 외압과 ‘과장된 위기의식’
2. 위기에 대한 대응, 해외웅비론(海外雄飛論)
3. 신속한 개항 결정의 비밀
| 더 살펴보기 | 해외 유학생과 사절단 파견
3장 도쿠가와 막부는 왜 패했는가
1. 자기 혁신 하는 ‘앙시앵 레짐’, 도쿠가와 막부
2. 막말기 도쿠가와 막부의 정치적 약점
| 더 살펴보기 | 막부보다는 일본! 가쓰 가이슈의 결단
4장 유학의 확산과 ‘사대부적 정치 문화’의 형성
1. 도쿠가와 시대 유학의 위치와 19세기의 확산
2. ‘사대부적 정치 문화’란 무엇인가
| 더 살펴보기 | 사무라이들의 독서 모임, 회독(會讀)
5장 ‘사화(士化)’하는 사무라이와 메이지 유신
1. 사무라이의 ‘사화(士化)’
2. ‘학적(學的) 네트워크’와 학당(學黨)의 출현
3. 상서(上書)의 활성화와 그 정치적 역할
4. 군주 친정(親政)의 요구와 실현
| 더 살펴보기 | 당파 혐오와 근대 동아시아의 정당정치
맺음말
주(註)
더 읽을 거리
참고 문헌
유사자료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 |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4 |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