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자료 검색
-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자료유형
- 단행본
- 서명/저자사항
-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South Koreas choice after crisis : global financial crisis, order transformation, and middle power economic diplomacy :세계금융위기, 질서 변환, 중견국 경제외교 /손열 엮음
- 개인저자
- 손열
김치욱
이왕휘
박창건
이승주
정재환
이용욱
김연규
김상배
문경연
- 판사항
- 무선[판]
- 발행사항
- 파주 :한울아카데미 :한울엠플러스,2020
- 형태사항
- 388 p. :도표, 지도 ;23 cm
- 총서사항
- 한울아카데미 ;2249
- 개별표제
- 세계금융위기, 질서 변환, 중견국 경제외교
- ISBN
- 9788946072497:
- 일반주기
- ;손열,김치욱,이왕휘,박창건,이승주,정재환,이용욱,김연규,김상배,문경연 지음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비통제주제어
- 외교,경제외교,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
등록번호 |
소장처 |
청구기호 |
도서상태 |
서비스 |
출력 |
1 |
BE8661 |
통일교육원 |
322.8311 손64ㅇ
|
대출가능
|
|
출력 |
부가정보
-
목차
- 서문 세계금융위기 이후 세 갈래 질서 변환 _ 손열
1. 서론 | 2. 자유주의 국제경제질서의 진화 | 3. 위기의 배경, 원인, 처방 | 4. 위기 이후 질서 변환의 3중주 | 5. 이 책의 구성
제1장 세계금융위기와 미국의 국제경제전략 _ 김치욱
1. 문제제기 | 2. 패권쇠퇴론과 지경학 | 3. 미국의 국제경제전략 | 4. 결론
제2장 세계금융위기 이후 세계 질서의 변화: 중국의 대응 _ 이왕휘
1. 머리말 | 2. 2000년대: 도광양회와 평화발전 | 3. 2010년대: 유소작위와 인류운명공동체 | 4. 미국에 대한 도전: 보호주의와 탈지구화에 대한 반대 | 5. 맺음말
제3장 글로벌 위기 이후 일본의 경제정책: 변형적 발전주의 _ 박창건
1. 들어가는 말 | 2. 변형적 발전주의 | 3. 일본의 경제정책 변화와 현황 | 4. 일본 경제정책의 특징과 전망 | 5. 맺음말
제4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무역 질서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_ 이승주
1. 서론: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과 성격 | 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무역의 변화 | 3. 한국의 대응: 지구적 가치사슬의 변화에 대한 대응 | 4.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통상 전략: 변화와 연속성 | 5. 결론
제5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통화체제와 한국의 대응 _ 정재환
1. 서론 |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3.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국제통화체제 | 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의 대외 통화정책 | 5. 결론
제6장 한국 중견국 금융외교의 가능성·한계·역할의 모색: 규칙준수자에서 규칙제정자로 _ 이용욱
1. 서론 |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의 다자금융외교 | 3. 한국의 중견국 금융외교: 특징, 가능성, 한계 | 4. 결론
제7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 에너지 질서 변화와 한국의 대응 _ 김연규
1. 서론 | 2.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국제 에너지 질서 | 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 에너지 질서 변화 | 4. 천연가스 혁명 | 5. 미국 셰일 혁명의 나비효과 | 6. 중국의 부상과 에너지 문제 | 7. 미·중 패권 경쟁과 러시아 에너지 | 8. 미·중 사이의 중동 에너지 | 9. 한국의 정책 대응 | 10. 결론
제8장 2008년 이후 한국 경제의 기술 전략: 미·중 기술패권 경쟁 사이에서 _ 김상배
1. 머리말 | 2. ‘기술’로 보는 세계 질서의 변화 | 3. 한국의 산업/기술 경쟁력의 현황과 전략 | 4. 한국의 표준/플랫폼 경쟁력의 현황과 전략 | 5. 한국의 콘텐츠 산업/서비스 경쟁력의 현황과 전략 | 6. 맺음말
제9장 신흥 공여국으로서 한국 ODA 정책의 발전과 도전 _ 문경연
1. 들어가며 |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사회의 ODA 정책 변화 | 3. 최근 주요 공여국의 ODA 정책 변화 | 4. 신흥 공여국으로서 한국 ODA의 발전 | 5. 결어: 한국 ODA 정책의 도전 과제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데이터가 없습니다. |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
자료명 |
저자 |
출판사 |
출판년 |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