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장자료 검색
통일교육 전문 도서관으로서, 통일교육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소장자료 검색

현대 북한의 식량난과 협동농장 개혁 = Contemporary food shortage of North Korea and reform of collective farm
자료유형
단행본
서명/저자사항
현대 북한의 식량난과 협동농장 개혁 =Contemporary food shortage of North Korea and reform of collective farm /남성욱 지음
개인저자
남성욱,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한울아카데미,2016
형태사항
574 p. :삽화, 도표, 지도 ;23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876
ISBN
9788946061323
비통제주제어
식량난,협동 농장,북한,

소장정보

단행본 소장정보
번호 등록번호 소장처 청구기호 도서상태 서비스 출력
1 BE5436 통일교육원 520.9111 남52ㅎ 대출가능 출력

부가정보

목차
개정판 머리말 = 5
초판 머리말 = 8
제1장 북한 농업의 현황과 정책 방향 = 21
1. 북한 농업의 현황 = 21
2. 최근 북한 농업정책 추진 방향 = 25
1) 감자 증산정책 = 28
2) 이모작 면적 확대 = 31
3) 종자혁명 = 33
4) 토지정리사업과 토지보호대책 = 34
5) 초식 가축사육 및 양어 사업 확대 = 36
6) 미생물 비료 도입 = 39
7) 국영농장 신설 = 40
8) 주체농업정책의 탄력적 적용 = 41
9) 기상재해 최소화를 위한 농업 기반 정비 = 42
10) 외자 유치를 위한 농업경제특구 지정 = 43
3. 북한 곡물생산과 소비의 역사적 고찰 = 43
1) 생산량 추이 = 43
2) 북한의 식량 수출입 고찰 = 47
제2장 북한 농업정책의 추진과 협동농장체제 도입 = 51
1. 북한 농업 발전과 협동농장체제 도입의 불가피성 = 51
1) 제1단계(1945∼1949): 인민민주주의 개혁기 = 56
2) 제2단계(1950∼1953): 동란기 = 57
3) 제3단계(1954∼1959): 사회주의 혁명기 = 57
4) 제4단계(1960∼1970): 사회주의제도 건설기 = 58
5) 제5단계(1971∼1976): 사회주의제도 안정기 = 59
6) 제6단계(1977∼1986): 주체경제 확립기 = 60
7) 제7단계(1987∼1993): 사회주의제도 완전승리기 = 60
8) 제8단계(1994∼1999): 사회주의 농업제도 고난기 = 61
9) 제9단계(2000∼현재): 사회주의 농업제도 보완기 = 61
2. 1946년 토지개혁의 의의와 협동화 = 62
3. 북한의 농업협동화 정책 = 67
1) 농업집단화의 시대적 배경 = 67
2) 농업집단화의 전개 과정 = 68
3) 북한 농업협동화 과정의 특성 = 70
4) 북한 농업협동화 운동 경과의 개관 = 76
5) 북한 농업협동화 운동 추진 사례별 내용과 특성 = 82
6) 개별조합의 협동화 사례 = 90
7) 협동화 과정상의 쟁점 검토 = 98
제3장 1964년 "사회주의농촌문제에 관한 테제"와 협동농장 운영 개혁 = 109
1. "테제"의 일반적 해석과 협동농장 운영 = 109
2. "테제" 발표의 배경과 협동농장 운영 개선 = 114
3. 농업협동화와 농정조직 구축 정책 = 116
1) 농업성 = 117
2) 도 농촌경리위원회 = 118
3) 군 협동농장 경영위원회 = 118
4) 리 협동농장 관리위원회 = 119
제4장 북한의 협동농장 거시적 운영 조직 및 미시적 운영 정책 = 123
1. 북한 협동농장의 거시적 현황 = 123
2. 협동농장의 재산과 소유 = 128
3. 협동농장 조합원의 의무와 권리 = 130
1) 조합원의 의무 = 130
2) 조합원의 권리 = 130
4. 협동농장의 기능별 조직 = 131
1) 협동농장의 주요 기관 = 131
2) 협동농장의 내부 조직 = 135
3) 협동농장의 생산 체계 = 137
4) 협동농장의 공급 및 분배 체계 = 142
5. 협동농장의 영농자재 조달공급체계 = 143
6. 협동농합의 영농자금 조달공급체계 = 145
7. 북한의 분배 체계 = 147
1) 북한 분배 체계의 원칙과 기준 = 147
2) 협동농장의 수입과 지출 = 149
3) 협동농장 수입 분배 = 151
4) 작업반우대제 = 156
5) 분조관리제 = 157
6) 협동농장 운영과 농산물의 수매 = 162
제5장 협동농장 운영체제와 규약의 변화 양상 = 163
1. 농업법 제정과 협동농장 운영체제 변화 = 163
2. 국영농장의 신설 증가 = 165
3. 협동농장규약기준 적용의 이완 = 166
4. 협동농장 생산ㆍ분배 제도의 변화와 효과 = 167
5. 1996년 분조관리제와 농장원의 영농행태 = 170
6. 1996년 분조관리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 171
7. 생산성 증대 목적의 제도 = 173
제6장 북한의 주체농법과 협동농장 운영체제 = 177
1. 주체농법의 의의 = 177
1) 주체농법 도입의 배경 = 177
2. 주체농법 대두의 시대적 배경 = 179
1) 경제적 배경 = 179
2) 주체농법의 도입 시점 = 180
3. 주체농법의 철학 = 182
4. 주체농법의 내용과 협동농장 운영 = 184
1) 적지적작(適地適作), 적기적작(適期適作) = 186
2) 밀식재배와 연작(連作) = 187
3) 시비체계의 과학화 = 188
4) 다락밭 건설 = 189
5. 주체농법의 문제점과 향후 방향 = 191
1) 주체농법의 문제점 = 191
2) 주체농법의 향후 방향 = 193
제7장 협동농장 운영과 곡물생산함수 분석 = 196
1. 북한 식량난 원인 분석과 기존 연구 검토 = 196
2. 곡물생산함수를 통한 회귀분석 = 201
1) 데이터 출처 = 201
2) 곡물생산함수의 구성 = 202
3. 곡물생산함수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 212
4. 협동농장체제와 개별 투입 요소에 대한 논의 = 217
5. 곡물생산함수 분석과 식량증산을 위한 대책 = 221
제8장 협동농장 개편 방향과 가족농의 역할 증대 = 229
1. 북한의 협동농장 개편 가능성 = 229
2. 현행 협동농장 운용체제의 한계와 개선 방향 = 231
3. 가족농의 역할 = 236
제9장 북한 협동농장과 중국 및 구소련 협동농장 비교분석 = 241
1. 중국 인민공사의 운영 형태와 개혁 내용 = 241
1) 사회주의혁명과 토지개혁 = 241
2) 농업집단화와 인민공사의 형성 = 244
3) 인민공사의 성장 = 247
2. 인민공사의 운영 형태 = 249
1) 관리 체계 = 249
2) 생산조직 = 250
3) 분배 체계 = 254
3. 인민공사의 개혁 내용 = 257
1) 개혁 배경 = 257
2) 제1단계 개혁: 생산책임제 도입과 인민공사 해체 = 259
3) 제2단계 개혁: 토지제도 개혁과 경영규모 확대 = 269
4. 소련 콜호스의 운영 형태와 개혁 내용 = 275
1) 콜호스의 성장과정: 사회주의혁명과 토지개혁 = 275
2) 농업집단화와 콜호스의 형성 = 278
3) 콜호스와 집단농장의 성장 = 282
4) 콜호스의 운영 형태 = 286
5) 협동농장의 생산 체계 = 286
6) 분배 체계 = 287
7) 콜호스의 개혁 내용 = 288
5. 제2단계 개혁: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 = 300
1) 1단계 개혁의 실패 = 300
2) 농업체제전환: 토지개혁과 농민경영 창설 = 302
3) 농업체제 전환의 실태 = 303
6. 북한 협동농장과 중국ㆍ소련의 비교 = 306
1) 집단농장 개혁 유형 = 306
2) 농업집단화의 비교 = 308
3) 관리 체계의 비교 = 311
4) 생산조직의 비교 = 315
5) 분배 체계의 비교 = 319
6) 역사적 경험의 비교 = 323
제10장 북한 협동농장체제의 개혁 방향과 대응 방안 = 326
1. 향후 협동농장 개혁 여건과 방향 = 326
2. 협동농장 개편의 기본 원칙 = 328
1) 농장원의 자원성 원칙 보장 = 330
2) 형평성 원칙에 의한 생존권 보장 = 331
3) 효율성 원칙에 의한 농업생산구조 유도 = 331
4) 여타 산업 부문과 연계된 개혁 방향 유도 = 332
3. 협동농장의 개혁 방향 = 332
1) 거시적 개혁 방향 = 332
2) 미시적 개혁 방향 = 335
4. 북한 농업개혁과 남북 농업협력 = 336
5. 협동조합 재건과 남북한 농업협력 방향 = 341
1) 협동농장과 국내 농업주체 간 계약재배 방식의 활성화 = 342
2) 협동농장의 감자 증산정책에 참여 = 344
3) 협동농장 지원 관련 국제사회와 연계 추진 = 345
4) 특정 협동농장 대상 잠업협력 적극 추진 = 346
5) 협동농장 지원 관련 남북농업채권 발행 = 347
6) 협동농장 대상 과잉 농축산물 지원 = 347
7) 각종 영농자재 지원 = 348
제11장 7ㆍ1 경제관리개선조치와 농업개혁 = 350
1. 7ㆍ1 조치와 북한 경제 = 350
2. 물가인상: 국정가격과 농민시장 가격의 비교분석 = 353
1) 국정가격 제정의 기준과 원칙 = 353
2) 국정가격 인상의 실태 분석 = 355
3) 농민시장 물가동향 = 359
4) 최근 농민시장 물가동향: 초인플레이션 만연 = 362
3. 임금 인상의 원칙과 목적: 직종별 차별화와 근로의욕 제고 = 363
1) 임금 인상의 원칙과 목적 = 363
2) 계층별 임금 인상의 비교: 선군정치와 직업별 차별화 = 365
3) 공업 부문별 임금 인상 비교 = 368
4) 7ㆍ1 조치에 따른 임금 인상 내용 = 370
4. 임금과 물가 인상에 따른 생산ㆍ소비 행태의 변화와 사회적ㆍ경제적 함의 = 373
1) 생산ㆍ소비 형태의 변화 양상 = 373
2) 임금ㆍ물가 인상과 사회적ㆍ경제적 함의 = 375
5. 7ㆍ1 조치의 평가와 향후 개혁추진 전망 = 377
6. 7ㆍ1 경제관리개선조치와 농업개혁 = 379
1) 농업관리개선조치의 내용 = 379
2) 농업개혁 평가 및 향후 전망 = 384
제12장 김정은 집권 이후 농정과 향후 전망 = 391
1. 김정은 집권 이후 농정의 내용과 식량수급 실태 = 391
1) 2000년대 이후 북한 경제 및 농업현황 = 391
2) 김정은 집권 이후 농정 방향 = 395
3) 김정은 시대 식량수급 실태 = 405
2. 김정은 시대 농업개혁 평가: 6.28 조치와 5.30 조치 = 409
1) 6.28 조치와 5.30 조치의 내용과 평가 = 410
2) 북한의 농업생산성 평가 = 414
3. 북한의 농업경제특구와 복합농촌단지 건설 = 417
1) 북청농업개발구 = 418
2) 이랑농업개발구 = 424
3) 숙천농업개발구 = 428
4) 농업개발구 과급효과와 남북농업협력 = 432
부록 = 443
1. 우리나라에서의 사회주의적 농업협동화의 승리와 농촌경리의 앞으로의 발전에 대하여 = 444
2. 분조관리제를 정확히 실시하며 농업생산에서 새로운 앙양을 일으킬 데 대하여 = 484
3. 농촌경리의 당면한 과업의 성과적 실행을 위하여 = 497
4. 우리나라 사회주의농촌문제에 관한 테제 = 505
5. 북한의 주요 농업 연표 = 533
6. 농업협동조합 기준규약(잠정) = 542
참고문헌 = 552
찾아보기 = 569

유사자료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

현재 자료 대출자의 대출 도서

유사자료 정보
이미지 자료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데이터가 없습니다.